2013년 11월 13일 수요일

그들의 목소리로 이야기를 들려주다: 연극 <노란달> (부제: 레일라와 리의 발라드)

by 서유미

장소 / 백성희장민호 극장
원작 / 데이비드 그레이그 David Greig, <Yellow Moon>
연출 / 토니 그래함 Tony Graham 
극단 / 국립극단

1895년 크리스마스, 미국 미주리 주에서 '수사슴' 리 쉘튼Lee Shelton이 빌리 리옹스Billy Lyons을 살인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Stagger Lee’는 이 사건의 내용을 가사로 옮긴 미국 포크송이다. (여러 버전이 있는데, 50년대 말 오랜 기간 빌보드 차트에 머무른 로이드 프라이스Lloyd Price의 버전이 가장 유명하다고 한다.) 연극 <노란 달>은 이 노래와 이를 배경으로 한 실제 사건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연극은, 굉장히 다르지만 동시에 굉장히 비슷한 10대 소년과 소녀의, 일종의 여행기이다. 아버지 없이, 알코올 중독의 엄마와 엄마의 남자친구와 함께 살고 있는 리. 그리고, 세상과의 소통을 스스로 거부하며 진짜 '나'를 찾지 못해 방황하는 레일라. 둘은 ‘그 사건’이 일어나기 전 서로 이야기를 나누어 본 적이 없다. 너무나 다른 세계에서 살아 왔던 그들은 서로 다른 사고 방식을 지니고 있었지만, 세상과의 소통 불화라는 어떠한 공통 분모가 존재한다. 그러던 어느 밤, 그 사건이 일어난다. 우연히 만난 둘. 때마침 리는 엄마의 남자친구 빌리와 언쟁을 벌이게 되고, 그가 자신의 모자를 뺏으려 들자 그를 칼로 찔러 살해한다. 그리고 드디어, 마을을 떠나게 된, 아니 떠날 수밖에 없었던 리와, 그와의 동행 길을 선택한 레일라의 여정이 시작된다.




"너, 올거야, 아님, 올거야?"

방금 살인을 저지른 리가 레일라에게 묻는다. 올거야, 안 올거야? 가 아니라, 올거야, 올거야? 라는 질문. 최대한 각색을 하지 않고 원작의 느낌을 살리려 했다는 연출의 말을 미루어 보아, 연극에서 꽤 많이 반복되는 리의 이 질문은 스코틀랜드식의 유머인 듯 하지만, 한국어로 공연되었을 때에도 관객의 웃음을 유발하는 데 실패한 것 같지는 않았다. 함께 그 사건이 일어난 공동묘지로 갈 때에도, 친아버지의 집에 갈 때에도, 경찰에게 쫓기면서도, 리는 같은 질문을 반복한다.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세상과의 원활한 소통에 실패한 두 청춘 남녀는, 사회의 규범과 질서에 반하는 행동들을 ‘함께’ 하면서 간접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작은 반항을 하고 있다. '나와 함께 가자'와 같은 상투적이고 진심이 부재한 구세대의 언어가 아니라, '올거야, (아님) 올거야?'와 같은 그들 세대만의 유머러스한 소통 방식으로 세대의 감성을 보여준다.

청소년 연극

국립극단이 야심 차게 준비한 '청소년 연극'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그런지, 극장에 교복 입은 학생들이 꽤 많이 보였다. 하지만 단순히 청소년들이 이야기의 중심에 있다고 해서 청소년 연극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 연극은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그리면서 동시에 그들이 사는 사회를 비추고 있다. 레일라는 24시간 여는 마트에서 연예인 잡지를 즐겨 보는 소녀이다. 그녀는 잡지책 읽기가 끝나면 면도칼과 밴드를 사서 마트의 화장실로 간다. "한 번도 내 자신이 되어 본 적이 없다"라고 말하던 그녀는 면도칼로 손목을 긋는 그 순간, 손목에서 나오는 피로 물든 잡지 책을 본 그 순간, 비로소 "살아있음"을 느낀다. 그래서 레일라의 손목은 상처투성이이다. 레일라는 벙어리 소녀로 불릴 정도로 말이 없다. 못 하는 게 아니라, 안 하는 거다. 말을 거부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듣고 싶은 것만 들어.
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는 중요하지 않아."

레일라의 세계에 존재하는 어른들은 진심으로 그녀의 말을 이해하거나 수용하지 못하고, 자신들이 듣고 싶은 대로, 믿고 싶은 대로 그녀의 말을 받아들여 왔다. 그렇기에 레일라는 더 이상 말을 해야 할 필요성을 못 느끼고는, 말하기를 거부하는 것이다.
그녀가 말하지 못하도록 하는 사회. 권력을 쥔 자들의 사상과 말들이 상대적인 약소 계층에게 강요되며 이 모든 것들은 가진 것이 없는 이들에게 더욱 폭력적으로 다가간다. <노란달>은 직접적으로 청소년들의 이야기 –사랑, 고뇌, 반항, 일탈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에 날카로운 비판의 시선을 던진다. 그리고 그 사회는, 리와 레일라의 마을인 미주리나, 작가의 고향인 스코틀랜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우리 모두가 존재하는 이 곳here, 혹은 어느 곳anywhere이든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야기 들려주기

1. 스토리텔링_네 명의 배우는 다양한 시점으로 관객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준다.’ 리가 하지 못한 리의 이야기, 레일라가 (차마 말로는) 하지 못한 레일라의 이야기, 무대 밖에서 일어난 일, 리와 레일라의 속마음, 전사, 실제로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일어났음직한 일 등이 배우들의 목소리를 통해 관객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배우들은 극 중 인물의 역할과 해설자의 역할을 계속해서 반복하면서, 마치 구연동화를 들려 주듯 관객들에게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입체적이고 독특한 이러한 방식의 스토리텔링은 마치, 화면이 빠른 속도로 순간 순간 바뀌는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면서 리와 레일라의 환상적인 모험의 여정을 표현한다. 또한, 인물들의 속마음을 비롯한, 연극에서 대화 이외의 언어들을 들려주기 때문에 그들에게 더욱 쉽게 공감을 느낄 수 있었다.

2. 연기방식_무대에는 달랑 의자 세 개만 놓여 있어 나무 판자로 된 무대는 거의 텅 빈 듯 보인다. 평상복 차림의 배우들은 몸짓으로 연기한다. 그들은 아무런 부차적인 수단 없이 단지 마임으로 사건들을 묘사했을 뿐인데, 무대 위 사건들은 실제 무대 도구나 특수 장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실제적으로 다가왔다. 특히, 레일라가 손목을 긋는 장면, 리가 찌른 칼에 빌리가 죽어가는 장면, 그리고 레일라와 홀리가 한 밤 중 차가운 호수에서 수영을 하는 장면은 실제 그 이상을 보여주었다. 최근 공포 영화들이, 직접적인 보여주기 방식을 선택한 과거의 스플래터나 슬래셔 영화들과는 달리, 관객이 공포를 상상하도록 하여 그 곳에서 오는 두려움을 유발하는 것과 같은 맥락인 듯하다. 머리 속에서 상상하는 장면들이, 내 눈 앞에서 일어나는 장면보다 더욱 사실적이고 극적으로 다가오던, 신기한 경험이었다.

3. 이야기 전달 방식_각 이야기는 번호들로 매겨져 있다. 희곡에서 막과 장을 구분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여기에서는 하나, 둘, 셋… 으로 구분되어 있다. 재미있는 점은 연극에서 이러한 구분들이 그대로 드러나는 점이다. (실제로 ‘하나’, ‘둘’, ‘셋’ 등을 말하면서 이야기를 구분한다) 이야기 하나가 바뀔 때마다 배우들이 서 있는 위치와 역할이 바뀐다. 등장인물에서 다시 해설자로 바뀌거나, 혹은 한 배우가 연기하는 인물들이 바뀌기도 한다. 이야기 ‘하나’가 끝나면 ‘둘’이 시작되고, ‘둘’이 끝나면 ‘셋’이 시작된다.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대신 시간과 공간을 왔다 갔다 하며, 극의 구성에 따라 그 순서가 배치된다. 언뜻 브레히트식의 연극을 연상케 하는 이러한 연극 구조는, 극의 흐름을 깨고, (순차적 흐름이 아니므로) 관객의 몰입을 차단하면서 자칫하면 관객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실제로 그런 순간을 여러 번 느꼈다.) 하지만, 연극이 끝난 다음에서야, 이 연극이 ‘무대 위에서 배우라는 무대 기호들을 통해 관객에게 끊임없이 ‘이야기’를 들려 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 ‘Stagger Lee’ (by Lloyd Price)
막이 내린 후 흘러나오던 노래 ‘Stagger Lee’ 는,
마치 시의 한 구절과 같은 다음의 가사로 시작된다.

달이 노랗던 그 날, 모든 일의 시작이었던.
“The night was clear, and the moon was yellow.”
http://youtu.be/gC2XG0tVsxM


** 1895년 Lee Shelton 사건
"수사슴 리Stagger Lee"로 더 잘 알려진 리 쉘튼은 은 19세기 미국 미저리 주 세인트 루이스에 살았던 흑인. 그는 친구인 빌리 리옹스 과 크리스마스 날 술을 마시고 있었다. 빌리와 리는 정치적으로 또 사업적으로 라이벌 관계에 있었다. (예상했겠지만) 둘 사이의 의견 다툼이 일어 났고 싸움이 격해지면서 빌리가 리의 모자를 벗겼다. 바로 다음 순간, 리가 그를 총으로 쏜 다음 모자를 다시 집어 유유히 자리를 떠난다. 빌리는 이 사건으로 사망했고, 리는 1897년 살인 죄로 감금된다. 모자를 벗겨 살해당한, 유명한 일화로 다양한 삽화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참조: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Stagger_Lee)